[아이티투데이 이호연 기자] 정부가 국가재난안전통신망(재난망) 통신 기술방식을 LTE(PS-LTE)로 선정하고, 황금주파수 700MHz 대역을 활용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자가망을 기반으로 구축하고 음영지역은 기존 이동통신3사의 LTE 상용망을 활용하는 혼합방식을 취한다.

미래부는 29일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열린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공개토론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앞서, 미래부는 지난 2개월 동안 재난망 주파수 공급 관련 전담 TF(테스크포스)를 운영해왔다.

우선 재난망 통신 기술로는 LTE가 선정됐다. LTE 기술은 37개 요구사항, 63개 기술 및 표준 분석결과 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차세대 멀티미디어재난대응 서비스 기능(5개)도 제공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테트라(TETRA)와 와이브로(WiBro)는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주파수 대역은 700MHz의 20MHz폭을 활용할 방침이다. 해당 대역은 LTE 무선국 이용이 없어 즉시 사용 가능하고, 가용 대역폭도 확보할 수 있다. 주파수 특성상 전파 효율성이 높아 망 구축 비용도 타 대역에 비해 저렴하다.

1.8GHz의 경우 700MHz 대비 3.3배, 2.6GHz 대비 4.5배 구축 비용이 든다. 또한 미국과 유럽도 재난망으로 700MHz 대역을 택하고 있다는데서 국제적 추세와도 적정하다는 분석이다. 700MHz 대역은 통합망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철도망, 해상통신망(e-Nav) 과 함께 활용된다.

구축 방식은 전국적으로 자가망으로 구축하되, LTE상용망 시설을 일부 활용해 커버리지를 확보한다. 음영지역은 이동 기지국을 통해 해소한다. 자가망 방식은 별도 주파수를 사용해 망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보안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커버리지 확보 순위는 인구밀집지역, 대도시, 상용망 커버리지 미 확보 지역 순이다.

이 외 상용망 결정 방식이나 보안 문제 등의 세부적인 사안, 통합망 운영 주체 등에 대해서는 하반기에 결정하기로 했다. 미래부는 망 구축에는 1조7000억원에서 2조1000억원이 적정할 것으로 예측했다.

관건은 주파수 할당이다. 정보화전략계획 추진 일정에 따라 늦어도 9월까지 주파수가 공급 확정 돼야 차질 없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700MHz 대역을 두고 초고화질(UHD) 방송 주파수로 사용하려는 지상파와 이동통신용으로 할당해야 한다는 이통사들이 맞서고 있어, 업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미래부는 이날 공개토론회 결과 등을 종합해 오는 31일 국가정책조정회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한다. 연말까지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하고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재난망 구축을 완료한다.

한편, 700MHz 대역 (698MHz~819MHz) 108MHz폭 중 40MHz폭은 지난 2012년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용 경매로 할당을 결정했다. 정부가 20MHz폭을 재난망 용도로 활용하면, 48MHz폭이 유휴대역으로 남는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