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투데이 이호연 기자] 그동안 알뜰폰 볼모지였던 LTE 시장에서도 알뜰폰 훈풍이 불고 있다. 알뜰폰은 장기 침체기를 겪고 있는 이동통신시장에서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LTE 가입자도 50만명을 돌파했다. 중장년층 외에 젊은 연령층의 알뜰폰 유입 증가가 한 몫 했다는 설명이다.

▲ 사진제공 = CJ헬로비전

■ 알뜰폰은 어르신폰? 천만에

최근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1월말 기준 무선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 수는 꾸준히 늘어 474만명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분기 대비 3%, 전년동기 대비 42% 증가한 것이다. 이같은 추세면 연내 이통시장 점유율 10%는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목할만한 점은 알뜰폰 LTE 가입자도 늘고 있다는 것이다. 2G 가입자는 55만1600명, 3G가입자는 369만6332명, LTE가입자는 50만696명으로 집계됐다. LTE의 경우 알뜰폰 가입자의 약 13.5%의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말 8.7%에서 4.8% 포인트가 올랐다.

업계는 LTE 가입자 증가 요인으로 저렴한 LTE 요금제 출시, 30~40대 연령층 증가를 꼽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알뜰폰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지난해 6월말부터 이통3사보다 50% 이상 저렴한 LTE 요금제가 쏟아지고 있다. KTIS의 1만원대 요금제, CJ헬로비전 요금반값할인 포로모션, 미디어로그-이마트의 1만9900원 특별 요금제 등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LTE 요금제 증가는 젊은 가입자들의 유입을 촉진시키고 있다. 한 중소 알뜰폰 업체 관계자는 “저렴한 LTE 요금제가 많아지다보니 통신비 인하에 관심이 많은 대학생, 주부들의 발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며 “싼 가격으로 중급 이상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많이 찾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우체국 알뜰폰에서도 젊은 연령층의 가입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10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신규 스마트폰 구매를 망설이는 소비자들이 대거 알뜰폰으로 유입된 덕택이다.

지난해 10월 말 기준 우체국 알뜰폰 가입자는 60대 21.5%, 50대 20.6%, 40대 21.3%, 30대 10.6%, 그 외 26%로 나타났다. 30~40대의 경우 지난해 1월보다 4.6%포인트 늘었다. 알뜰폰 가입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1월까지 가입자 비중은 35% 근처까지 증가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 사진제공 = KCT

■ “LTE 시장 확대하려면...”

알뜰폰이 더욱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LTE 시장 활성화가 필수다. 업체로서도 가입자당 평균매출액이(ARPU) 높은 LTE 비중을 늘림으로써 수익성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미래부 또한 알뜰폰을 통해 기존 이통사의 경쟁을 부추겨 통신비를 인하하겠다는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LTE 망 도매대가 인하와 LTE 단말 공급 문제가 해결되야 한다. 가장 시급한 것은 오는 9월 만료되는 ‘전파사용료 면제 기한’을 재연장하는 것이다. 전파사용료 면제 기한 연장은 올해 알뜰폰 업계가 꼽는 최대 숙원이다.

정부는 알뜰폰 활성화를 위해 연간200억~300억원 수준의 전파사용료를 일시적으로 면제한 바 있다. 알뜰폰 업계는 면제를 통해 재정적 부담을 덜고 저렴한 상품을 내놓을 수 있었다. 그러나 면제 연장이 기획재정부의 세수 확보와 부딪히면서 불투명한 상황이다. 알뜰폰 업계는 손익분기점을 넘는 10% 점유율 달성때까지는 전파사용료를 면제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LTE 단말의 원활한 공급도 과제다. 이통사 알뜰폰 자회사를 제외하고 LTE 서비스를 제공중인 업체는 CJ헬로비전, 에넥스텔레콤 등 손에 꼽는다. 문제는 LTE 단말 가격이 최대 100만원에 육박, 현 가입자 규모에서 물량 공급을 하면 할수록 적자를 면치 못하는 구조적인 모순이 있다. 중저가 고사양의 외산 단말의 경우도 수급량의 불일치를 해결 못해 선뜻 들여오지 못하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국내 이통시장은 소비자의 단말 니즈와 궤를 같이 한다”며 “LTE 가입자를 끌어오려면 인기 LTE 단말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어 “LTE 인프라 구축은 중소 알뜰폰 업체로서 하기 어려운 부분이 상당 수 있다”며 “중소 상권 침해 비판에도 대기업 계열사의 알뜰폰 진입을 허락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