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투데이 이호연 기자] 오는 24일 요금할인율이 12%에서 20%로 인상되는 가운데, 이동통신3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소비자는 단말 구매시 지원금(보조금) 대신 요금할인을 선택해 구입할 수 있다. 24개월 약정 기준으로 약정 할인 외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 요금할인율이 20%로 상향되면 지원금을 받는 것보다 최소 10여만원 더 이득이다.

그러나 이통사로선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늘수록 매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손해를 본다. 결국 지원금 수준을 높여야 하는데 이 또한 마케팅 비용 부담으로 이어져 난색을 표하고 있다.

24일을 기점으로 요금할인 수준이 2배로 오른다. 갤럭시S6 32GB(출고가 85만8000원) KT 순완전무한99 요금제 기준 20% 요금할인을 선택하면 24개월 동안 총 52만60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다. 이는 지원금 상한선 33만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소비자가 지원금 선택시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37만9500원(추가 지원금 15% 포함)이다. 5~6만원대 중저가 요금제에서도 요금할인이 4~5만원 가량 이득이다.

▲ 삼성 '갤럭시S6(왼쪽)', LG G4

위약금 강도도 낮다. 지원금은 24개월 약정을 못 지키면 위약금을 물어내야 하지만, 요금할인은 1년만 채우면 나머지 기간에 대해서는 위약금을 토해낼 필요가 없다.

소비자가 요금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삼성 디지털 프라자 등에서 갤럭시S6를 공단말로 구입한 뒤, 이통3사에서 24개월 약정 개통을 하면 된다. 공단말로 구입하면 출고가 85만8000원을 한 번에 내야 하는 부담이 있지만, 전체 액수를 따지면 요금할인이 저렴한 것은 사실이다.

소비자로선 요금할인이 훨씬 이득인 셈이지만, 이통사로선 불편한 입장이다. 지원금의 경우 이통사 외에도 제조사가 일정액수를 부담한다. 그러나 요금할인은 온전히 이통사가 부담한다. 요금할인 선택이 급등할수록 마케팅 비용 부담이 더욱 증가하는 것이다. 판매 수수료로 수익을 얻는 판매점 또한 요금할인이 늘어날수록 손해다. 소비자가 단말을 직접 구매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마진을 남길 수 없다.

이통사가 취할 수 있는 선택은 제한적이다. 소비자의 시선을 요금할인으로부터 돌리려면 결국 지원금을 높이는 방안이 최선이다. 이같은 이유에서 24일 이후 이통사가 저가 요금제 보조금 수준을 요금할인율 20%와 버금가는 수준으로 올릴 가능성도 전망되고 있다.

이통사는 이미 갤럭시S6 지원금을 출시 7일만에 10만원 이상 올렸다. 출시 열흘도 채 안된 삼성전자 신규 플래그십 단말에 이같은 지원금을 투입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판매량은 기대에 못미치고 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시장 조사업체 애틀러스 리서치앤 컨설팅에 따르면 갤럭시S6 시리즈 판매량은 지난 7일간 7만9586대(대리점과 판매점 판매량만 포함)로 집계됐다. 전작 갤럭시S5보다 4배 많은 수준이지만, 경쟁작인 애플 아이폰6 시리즈보다는 못미친다는 분석이다. 아이폰6 시리즈(출시 7일 판매량 15만8179대)는 판매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갤럭시S6 시리즈에 의해 큰 폭으로 판매량이 감소하지는 않고 있다.

이통사 관계자는 “갤럭시S6 판매가 잘 되고 있다면 보조금을 굳이 왜 올렸겠냐”며 “요금할인까지 인상되면 이통사로선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 G4까지 출시되면 자칫 이통시장이 출혈경쟁으로 왜곡될까봐 우려가된다”고 밝혔다.

한편, LG전자는 오는 29일 전략 스마트폰 G4를 출시한다. G4 가격은 갤럭시S6보다 낮게 책정되고 있다. 70만원 후반에서 80만원 초반대에 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