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투데이 정일주 기자]통신3사가 각사 직영점의 휴점 일을 26일로 늘리는 등의 중소 휴대폰 유통점 상생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판매점들은 달라질 것이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판매점들은 필요한 것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통신사 직영점 출점제한이라 주장했다.

2일 신도림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 중인 A씨는 “통신사들이 내놓은 휴점일 확대는 단순히 국정감사를 앞두고 하는 정말 의미 없는 일”이라며 “이미 좋은 위치에 직영점들이 다 들어서 주변 판매점들은 고사한 상태고 소비자가 판매점을 찾아온다는 보장도 전혀 없다”고 말했다.

A씨에 따르면 이미 수도권 및 전국 주요 상권에는 통신사 직영점이 한곳 이상씩 자리를 잡은 상태다. 이 때문에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이후 직영점과의 경쟁력을 상실한 주변 판매점들은 문을 닫았다. 즉 이제와 휴점을 해봐야 득을 볼 수 있는 판매점들이 없다는 것이다.

■ 휴점하면 뭐하나...득 보는 판매점 없다

 

▲ 통신3사가 각사 직영점의 휴점 일을 26일로 늘리는 등의 중소 휴대폰 유통점 상생방안을 내놨지만 정작 이 소식을 접한 판매점들은 아무 의미 없는 방안을 내놓았다고 토로했다

실제 통신사가 정부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서 가장 판매실적이 좋은 8개 권역 53개 노른자위 핵심 상권서 판매점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었다. 2013년 7월 핵심 상권에는 2,219개 판매점이 성업 중이었으나 작년 11월에는 2,014개로 205곳이 줄었다. 줄어든 매장 자리에는 통신 3사의 직영점이 차지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휴대폰 매장을 운영 중인 B씨도 동일한 의견이었다. B씨는 “대형마트가 쉰다고 소비자들이 갑자기 재래시장으로 가는 경우가 극히 드물 듯이 직영 대리점이 쉬면 소비자들도 함께 쉬는 경향이 나타날 것”이라며 “연 26회면 2주에 1번꼴로 쉬는 건데 큰 영향 없을 것 같다”고 답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시설과 브랜드 인식이 좋은 직영 대리점을 두고 판매점을 굳이 찾아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규 출시된 갤럭시노트5는 출시 직후 주간 판매량의 22.3%를 차지하며 인기를 끌었지만 휴대폰 판매점과 집단 상가는 내방객 자체가 없어 출시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늦었지만 통신사 직영점 수를 제한하는 출점제한을 지금이라도 해야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변에 위치한 한 판매점 관계자는 “직영점 26일 휴무 확대는 직영점만 포함되고 일반 대리점은 영업을 계속하기 때문에 중소 판매점에 긍정적 영향이 올 것 같지 않다”며 “지금 중요한 건 방통위(방송통신위원회)가 상생을 위해 지원하겠다던 정책의 실현과 통신사 직영점 출점제한이다”라고 전했다.

■ 통신사 직영점 확대...단통법 위반도

 

▲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유승희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위탁 대리점을 포함한 통신3사의 직영 대리점 수는 9,014 곳으로 1년 만에 590곳이 늘었다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유승희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위탁 대리점을 포함한 통신3사의 직영 대리점 수는 9,014 곳으로 1년 만에 590곳이 늘었다. 반면 판매점 수는 3,537곳이 급감해 2만 8,752곳으로 줄었다.

KMDA(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측은 통신사 직영점 수가 적지도 않을뿐더러 주요 지역에 큰 규모로 자리 잡고 있어 판매점에 끼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평했다. 이 때문에 직영점 출점제한이 꼭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SKT와 KT는 자회사를 설립한 이후 각 3,300억 원과 2,370억 원의 출자금을 투자했다. LG유플러스는 본사가 직접운영하고 있어 투자금액 규모가 파악되지 않지만 타사에 비해 월등히 많은 비용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 반해 중소 판매점은 자금력과 인력에 제한이 있어 통신사 직영점의 시설과 서비스에 따라가기 어렵다.

통신사 직영점의 추가지원금 지급도 불법이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단통법 제4조 5항에 따라 판매점만 추가지원금 15%를 지급할 수 있음에도 통신사 직영점들은 추가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게다가 LG유플러스는 온라인 다이렉트샵을 통해 구매한 고객에게는 추가 7% 요금할인까지 지원 중이다. 이는 판매점을 비롯한 유통점서는 구현 불가능한 차별성 제도다.

업계 관계자는 “통신사가 단통법까지 어겨가며 판매점 죽이기에 여념인데 무슨 허례허식 같은 상생방안이냐”며 “정부가 실제 유통점들의 고충이나 의견을 반영한 정책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