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투데이 이경탁 기자] 21세기는 소프트웨어 시대라고 한다. 국내 많은 경제 석학 및 전문가들이 한국경제도 하드웨어 중심의 제조업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SW) 산업을 키워야 한다고 이구동성 입을 모은다. 하지만 국내 SW업계는 글로벌 경쟁력은 고사하고 국내 시장에서도 해외 기업에 밀려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9월 국정감사에서 이개호 의원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내 SW 시장에서 외국계 글로벌 기업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47.5%에 달하며 매출액은 1조 7000억원으로 지난 2010년 1조 2000억원 대비 41% 증가했다. 반면,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시장점유율은 최근 5년간 29~31%를 오르내리며 30% 선에서 정체상태다.

특히 다가오는 클라우드 환경에도 SaaS, 즉 소프트웨어가 핵심이다. 아마존, MS, 오라클 등 외국계 글로벌 기업들의 국내 클라우드 시장 공습이 예고된 가운데 송희경 KT 사물인터넷(IoT) 사업단장은 “클라우드 인프라가 아무리 많이 깔려도 그 경쟁력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소프트웨어다”며 “국내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몇몇 업체를 제외하고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은 찾기 힘들다”고 말했다.

▲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시장점유율은 30% 선에서 정체상태다 (사진=PIXABAY)

익명을 요구한 서울의 한 대학교수는 “국산 SW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힘든 것은 복합적인 문제가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국내 SW업체 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기술과 아이템을 발굴해내는 포착 능력이 떨어진다”며 “기술력과 아이템을 갖추고 있더라도 국내 인력만으로 해외 글로벌 기업보다 먼저 틈새 시장을 공략하는 경쟁력을 갖추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SW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SW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로 SI(시스템 통합) 위주의 하도급 계약 관행을 꼽는다. 대부분 기업들은 패키지용SW 구매보다는 SI업체를 통한 SW 발주를 하고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 SW업계는 매출 확대를 통해 품질 경쟁력과 덩치를 키우는데 한계에 부딪혀 좋은 인력을 수급하지 못하고, 적극적인 해외 시장 진출도 망설여 결과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데 실패한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SW 기업인 티맥스소프트, 인프라웨어 등은 해외 시장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티맥스소프트는 지난해 해외에서 약 1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올해는 러시아, 영국, 싱가포르 등 해외 법인 확대로 1200억원의 해외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인프라웨어는 모바일 오피스 SW ‘폴라리스오피스’를 개발해 현재 글로벌 모바일 오피스 시장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력 갖추기 위해서는 해외 시장 개척만이 해답.. 문제점은?

국내 SW 업계가 글로벌 업체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국내 SW 시장이 정상화가 되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어렵더라도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해 인정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해외 시장 진출이 말처럼 쉽지는 않다. 업계 관계자들은 해외 진출시 대표적인 애로사항으로 ‘현지 전문 인력 채용 및 관리’, ‘해외 업체와의 파트너쉽’, ‘현지 제도 및 법 준수’ 등을 뽑는다.

그룹웨어 및 전자문서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핸디소프트의 한 관계자는 “해외 진출 시 초기 시스템 구축에 큰 어려움을 겪는다”며 “해외 풍토가 국내와 매우 달라 마케팅, 전문인력, 유지보수 등 운영에 애로사항이 있다”고 전했다.

▲미래부 산하 기관들이 국내 SW 업체들의 해외 진출을 돕고 있다.

정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정보기술서비스산업협회(ITSA),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등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산하 기관을 통해 국내 SW 업체들의 해외 진출을 돕고 있다.

KOSA 우정민 정책연구팀 해외수출지원 책임연구원은 “KOSA는 현재 국내 SW업체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미국, 중국, 일본, 인도, 동남아 등 5개 국가 및 지역의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며 “SW업체들의 해당 지역 진출 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 책임연구원은 “현재 국내 100여개의 기업이 KOSA 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는데 매년 분기별로 업체들의 애로사항을 조사해보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히는 것은 해당 지역의 파트너 발굴이다”고 덧붙였다.

NIPA 안재혁 글로벌 사업단 SW 해외진출팀 팀장은 “국내 SW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 및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컨설팅, 교육, 마케팅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국내 SW 업계가 글로벌 업체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해외 시장을 개척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진=PIXABAY)

반면, 국내 SW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에서 국내 SW업계의 해외 진출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이 나오고 있는데 기관별로 산재되어 있어 기업들 입장에서는 자칫 혼란스러울 수 있다”며 “해외진출을 위한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미래부 강도현 소프트웨어정책과 과장은 “기업들의 해외진출 통로가 많을수록 좋다고 본다. 해외 진출이라는 것이 굉장히 복합적이고 일률적이지 않기에 지원범위와 내용도 달라야 한다”며 “보안업체는 KISA, 정보화사업은 NIA 등 소프트웨어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디테일한 지원을 위해서는 각 기관들이 전문 분야를 맡아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